본문 바로가기
직장생활/소식 >> 청년,직장인

2024년 5월 기준 예적금 금리 비교

by 슬기로운 민지 2024. 5. 30.
반응형

매달 월급이 통장에 들어올 때마다 '이번 달에는 꼭 저축해야지!'라는 다짐을 하곤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1금융권 은행, 저축은행, 그리고 증권사들의 예적금 상품 금리를 비교해보려 합니다. 어디에 돈을 넣어야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지 금리 비교를 통해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분류 은행/증권 예적금 상품 금리
1금융권 은행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 4.35%
수협은행 SH 첫 만남 우대 예금 기본 2.97%, 최대 4.02%
KEB하나은행 하나 더 예금 기본 3.1%, 최대 3.6%
KB국민은행 KB스타 정기예금 기본 3.2%, 최대 3.5%
우리은행 우리 WON플러스 예금 기본 3.0%, 최대 3.3%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기본 3.1%, 최대 3.4%
IBK기업은행 i-ONE 정기예금 기본 3.2%, 최대 3.6%
NH농협은행 NH올원 정기예금 기본 3.0%, 최대 3.4%
한국씨티은행 프리미엄 예금 기본 3.0%, 최대 3.5%
부산은행 e-파워 정기예금 기본 3.2%, 최대 3.5%
저축은행 키움저축은행 e-정기적금 5.00%
예가람저축은행 Hi!예가람e정기적금 4.80%
OK저축은행 OK정기예금 4.50%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정기예금 4.30%
웰컴저축은행 웰뱅 e-정기예금 4.20%
페퍼저축은행 페퍼스 정기예금 4.10%
DB저축은행 드림 정기예금 4.00%
모아저축은행 모아 정기예금 3.90%
한화저축은행 한화 e-정기예금 3.80%
메리츠저축은행 메리츠 정기예금 3.70%
증권사 미래에셋증권 CMA Plus 3.50%
삼성증권 CMA 레귤러 3.30%
NH투자증권 QV CMA 3.20%
KB증권 M-able CMA 3.10%
하나금융투자 Smart CMA 3.00%
한국투자증권 CMA Plus 2.90%
신한금융투자 Smart CMA 2.80%
교보증권 CMA Alpha 2.70%
유진투자증권 CMA Flex 2.60%
대신증권 CMA Q 2.50%

요약

1금융권 은행과 저축은행의 금리는 4%대에서 7%까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우대 조건을 충족할 경우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의 경우 각 은행마다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고 금리가 적용됩니다. 증권사들은 상대적으로 명확한 예적금 금리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다양한 투자 상품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입니다. 각 상품의 상세 조건과 우대 금리 적용 여부는 해당 금융기관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