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생활/스킬업>> 엑셀,구글시트

엑셀: 2025가계부 만들기

by 슬기로운 민지 2024. 11. 1.
반응형

엑셀을 활용해 가계부를 만들면 수입과 지출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엑셀의 함수와 도구를 이용하면 손쉽게 데이터를 입력하고, 원하는 대로 정리해 볼 수 있어 편리하죠. 여기서는 엑셀 가계부 작성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1. 기본 레이아웃 설정하기

먼저 엑셀의 각 열에 필요한 항목들을 정리합니다. 기본적인 가계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날짜항목내용수입지출잔액

  • 날짜: 거래 발생 날짜를 입력하는 칸입니다.
  • 항목: 수입/지출을 구분하기 위해 ‘월급’, ‘식비’, ‘교통비’ 등 항목 이름을 입력합니다.
  • 내용: 상세한 지출 내역을 기록합니다. (예: '점심 식사', '지하철 요금' 등)
  • 수입/지출: 해당 거래의 금액을 입력합니다. 수입은 ‘수입’ 열에, 지출은 ‘지출’ 열에 기록합니다.
  • 잔액: 잔액을 자동 계산하여 매월 예산 관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기본 데이터 입력하기

데이터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첫 번째 행에 각 항목을 배치하고 나면 다음 행부터 실제 수입/지출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1. 날짜를 입력합니다.
  2. 항목 및 내용을 입력합니다.
  3. 수입이나 지출 금액을 입력합니다.

3. 잔액 자동 계산하기

잔액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엑셀 함수를 활용합니다.

  • 잔액 공식: =이전 잔액 + 수입 - 지출
  • 예를 들어 C2 셀이 잔액을 기록하는 열이라면, C3 셀에 아래와 같은 수식을 입력합니다.
excel
코드 복사
=IF(ROW(C3)=2, 수입셀 - 지출셀, C2 + 수입셀 - 지출셀)
  1. 잔액을 시작할 셀에 수식을 넣어 잔액을 자동 계산할 수 있게 합니다.
  2. 이 수식을 마지막 행까지 드래그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설정합니다.

4. 월별 합계 및 차트 만들기

각 항목별로 월간 수입/지출 합계를 보기 위해 SUMIF 함수를 사용합니다.

  • 수입 합계 계산: =SUMIF(B:B, "수입", D:D)
  • 지출 합계 계산: =SUMIF(B:B, "지출", E:E)

이렇게 계산한 값을 바탕으로 차트를 추가하여 월별 지출과 수입 추세를 시각화할 수도 있습니다.

  1. 삽입 탭에서 차트 삽입을 선택합니다.
  2. 합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막대형 차트 또는 원형 차트를 추가해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5. 필터와 조건부 서식 설정하기

필터 설정

  1. 데이터 탭에서 필터를 적용해 원하는 항목만 볼 수 있도록 합니다.
  2. 필터를 통해 특정 기간, 특정 항목 등 필요한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서식 설정

예산 초과 여부를 한눈에 확인하기 위해 조건부 서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지출 열을 선택하고, 조건부 서식을 클릭합니다.
  2. 지출 > 예산인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합니다.
  3. 이 외에도 특정 금액 이상일 경우 강조하는 등 다양한 서식을 활용해보세요.

6. 데이터 자동 업데이트를 위한 팁

매월 데이터를 추가할 때 매번 잔액이나 합계를 재계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가계부 템플릿을 만들면 편리합니다.

  • 테이블 형식으로 데이터를 설정하면 데이터 추가 시 자동으로 수식이 적용되며, 차트와 합계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예시 템플릿 요약

날짜항목내용수입지출잔액

11/01 월급 급여 입금 2500   2500
11/02 식비 점심 식사   15 2485
11/02 교통비 버스 이용   2 2483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면 잔액이 자동으로 갱신되며, 매월 혹은 주 단위로 예산을 체크하고 지출 습관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니 엑셀 가계부를 통해 체계적으로 가계 관리를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