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말정산 변경 내용 2024년 알아야할 연말정산 변경 내용 1. 식대 비과세 한도 확대 2023년에 변경된 내용이었습니다. 2022년까지 비과세 식대 한도가 10만원이었지만 2023년부터 2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각 기업마다 다르겠지만 비과세 한도이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20만원으로 변경된 것은 아닙니다. 간혹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2.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상향 무주택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공제한도를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근로자가 주택임차시 원리금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로 소득공제율을 40%는 그대로 유지입니다. 공제한도는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3. 개인연금, 퇴직연금 세액 공제한도 확대 2022년 까지는 .세액공제 납입한도가 종합소득이 1... 2024. 1. 25.
연말정산 : 소득세 얼마 내야 할까? 2024년 소득세율표 변경항목 -소득세 과세표준 10억원 초과 구간 신설 -최고세율 42% -> 45% 상향 -자녀세액공제 기준 변경 20세 이하 자녀 수 -> 8세이상 20세 이하 자녀 수 결과적으로 전년도보다 소득 구간이 확대되어서 소득세 부담이 줄었습니다. 연 소득 2024년 세율 누진공제 (단위:원) ~12,000,000 6% 0 12,000,000 ~46,000,000 15% 1,260,000 46,000,000~88,000,000 24% 5,760,000 88,000,000~150,000,000 35% 15,440,000 150,000,000~300,000,000 38% 19,940,000 300,000,000~500,000,000 40% 25,940,000 500,000,000~1,000,0.. 2024. 1. 24.
연말정산 잘 받기 위한 준비 서류: 연말정산 꿀팁 연말정산의 시기가 왔습니다. 직원들도 지난주부터 우리 회사는 연말정산 안 하나요? 언제 해요? 질문이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안 하긴요! 저희 회사는 부가세 신고 끝나고 2월에 합니다. 1년 내내 고생한 직장인들에겐 단비 같은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니 궁금하고 재촉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2023년 연말정산받기 위해 준비해야 할 서류들을 보겠습니다. (1) 근로소득자 소득 ㆍ세액 공제신고서 별거 아닌 듯 별거인 기본 신고서입니다. 막상 열어보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 신고서 작성방법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이 신고서는 공제사항이 없어 준비할 서류가 없어도, 인적공제항목은 필수 입력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2)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자료 홈택스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접속하여.. 2024. 1. 24.
반응형